사이트맵
패밀리 사이트

JOURNAL OF PRAUDEN

우모혼합률 검사 방법(KS K 0820 기준)

우모혼합률 검사 방법(KS K 0820 기준)
2018-09-13

1. 시료 채취

1) 조성혼합율 선별이 완료된 시료: 2차 선별 후의 솜털과 깃털을 각각의 혼합 상자에 넣어 잘 섞은 후 시료 랜덤 채취

2) 조성혼합율 시험이 되지 않은 시료: 준비된 시료 30g 중 상/중/하층에서 총 1g의 시료를 채취하여 혼합 상자에 넣은 후 시료 랜덤 채취

 

2. 감별 시험

1) 솜털에 대한 감별

① 혼합 상자에서 50개의 솜털을 랜덤하게 채취한다(이때 큰 것과 작은 솜털 송이를 랜덤하게 채취한다).
② 정확한 측정을 위해 솜털을 흔들어 솜털 외 다른 조성물을 제거한다.
③ 분석기 또는 현미경으로 감별 후 비커에 분리하여 담는다.
④ 감별 불가능한 솜털은 제외하고, 부족한 개수는 다시 혼합 상자에서 채취하여 감별한다.
⑤ 감별 결과, 거위털이나 오리털 중 다른 종이 개수로 7개(14%) 이상 감별될 경우 ①과 동일한 방법으로 50개의 솜털을 추가로 채취하여 합계 100개를 감별해야 한다.

 

2) 깃털에 대한 감별

① 혼합 상자에서 20개의 깃털을 랜덤하게 채취한다(이때 큰 깃털과 작은 깃털을 랜덤하게 채취한다).
② ~ ④과정은 솜털에 대한 감별과 동일하게 진행한다.
⑤ 감별 결과, 거위털이나 오리털 중 다른 종이 개수로 4개(20%) 이상 감별될 경우 ①과 동일한 방법으로 20개의 깃털을 추가로 채취하여 합계 40개를 감별해야 한다.

 

3. 결과 표시

1) 1-1의 경우(조성혼합율 검사를 한 경우): 솜털과 깃털의 결과값에 협잡물, 미성숙 솜털, 오라기, 육조 깃털, 손상 깃털 등의 결과값을 포함하여 솜털과 깃털을 통합한 거위/오리/육조털의 값으로 표기한다.

2) 1-2의 경우(조성혼합율 검사를 하지 않은 경우): 감별 완료된 각각의 솜털 및 깃털의 질량을 0.1mg까지 측정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 산출한다. 이때 솜털과 깃털에 각각의 거위/오리/육조털 질량을 산출한 결과값을 표기한다.

*현미경으로 본 종별 특징

<이미지 출처: 우모의 시험방법(KS K 0820 2014)>